과정명 | 산업심리학 | 지도교수 | 김보현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5-04-02 ~ 2025-07-15(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5-07-30 | 성적보고 완료일 | 2025-08-05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5.07.28.(월) 16:00 ~ 2025.07.31.(목) 17:00 | 학위취득 | 2026년 2월 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경영학 전공,심리학 전공,안전공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비서행정 전공,안전공학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5-05-23 오전 10:00 ~ 2025-05-26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5-07-11 오전 10:00 ~ 2025-07-14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5-04-30 - 2025-06-03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5-06-27 - 2025-06-30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5-06-13 - 2025-06-16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5-04-02 - 2025-04-22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5-05-28 - 2025-06-10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발달
[강의 목표] 1.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정의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역사적 배경에 기초하여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정의 2. 산업심리학의 이해 |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연구 방법
[강의 목표] 1. 산업심리학 및 조직심리학의 연구 체계를 토대로 한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인간의 행동 특성 및 실증적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연구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학문 중심 연구와 실무 중심 연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Hawthorne이 진행한 산업심리학의 연구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산업심리학의 연구 방법 2. 인간의 행동 특성 3. 실증적 연구 방법 4. 연구의 윤리적 문제 5. 학문 중심 연구와 실무 중심 연구 6. 산업심리학 연구 |
||
2 |
1차시. 직무분석 Ⅰ
[강의 목표] 1. 학자들이 정의한 직무분석의 개념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직무와 관련된 용어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직무분석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직무분석 방법 중 직무요소 질문지, 기능적 직무분석, 직책분석 질문지, 과업 질문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무분석의 정의 2. 직무의 관련 용어 3. 직무분석 정보 수집 방법 4. 직무분석 방법 |
|
2차시. 직무분석 Ⅱ
[강의 목표] 1. 직무분석 방법 중 최초분석법, 비교확인법, 데이컴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직무평가의 개념과 목적을 이해하고, 직무평가의 종류와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무분석 방법 2.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3. 직무평가(Job Evaluation) |
||
3 |
1차시. 수행평가 Ⅰ
[강의 목표] 1.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인 준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개념 준거와 실제 준거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준거 결핍, 준거 적절성, 준거 오염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4. 직무수행 준거 특성에 기초한 9가지 직무수행 준거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2. 개념 준거와 실제 준거 3. 준거 결핍, 준거 적절성, 준거 오염 4. 직무수행 준거 |
|
2차시. 수행평가 Ⅱ
[강의 목표] 1. 직무수행에 관한 준거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직무수행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Campbell과 Murphy가 제시한 직무수행 모형을 이해하여 직무수행을 결정짓는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수행평가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무수행에 관한 준거들 간의 관계 2. 직무수행을 평가하는 방법 3. 직무수행의 모형과 결정 요인 4. 수행평가의 유의점 |
||
4 |
1차시. 인사결정 Ⅰ
[강의 목표] 1. 인사결정의 사회적 · 법률적 맥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인사결정모델 분석을 통한 인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인사결정의 사회적 맥락 2. 인사결정의 법률적 맥락 3. 인사결정모델 |
|
2차시. 인사결정 Ⅱ
[강의 목표] 1. 심리검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고용 검사(Employment Tests)의 개념 및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생활사 검사의 목적을 이해하고, 생활사 검사의 요인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면접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심리검사 2. 고용 검사(Employment Tests) 3. 생활사 검사 4. 면접 |
||
5 |
1차시. 종업원의 선발 Ⅰ
[강의 목표] 1. 종업원의 모집, 선발, 배치를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준거타당도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인적자원 요구에 대한 계획 2. 종업원 선발 3. 준거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
[과제 제출] |
2차시. 종업원의 선발 Ⅱ
[강의 목표] 1. 직무제의 수락 설득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과학적 선발의 효용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과학적 선발의 효용성 계산을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선발 결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무제의 수락 설득 방법 2. 과학적 선발의 효용성 3. 과학적 선발의 효용성 계산 4. 선발 결정 |
||
6 |
1차시. 산업교육 및 훈련 Ⅰ
[강의 목표] 1. 산업교육 및 훈련의 정의를 말할 수 있다. 2. 요구분석의 목적과 교육 체계를 기초로 하여 요구분석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3. 교육훈련의 개념과 목적을 이해하여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산업교육 및 훈련의 정의 2. 요구분석 3. 교육훈련 |
|
2차시. 산업교육 및 훈련 Ⅱ
[강의 목표] 1. 교육훈련에 필요한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 2. 조직분석의 구성을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성인학습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훈련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법과 훈련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훈련 기법을 응용한 사례를 적용하여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교육훈련 니즈 분석(Needs Analysis) 2. 조직분석 3. 성인학습 4. 훈련 기법 5. 훈련의 응용 |
||
7 |
1차시. 종업원 동기에 관한 이론 Ⅰ
[강의 목표] 1. 작업동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작업을 위한 동기부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작업동기이론이 대두된 배경을 이해하고 동기이론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작업동기이론 중 알더퍼(C. Alderfer)의 ERG이론과 허츠버그(Frederick 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작업동기(Work motivation) 2. 작업동기이론 개념 3. 작업동기이론 종류 ① |
|
2차시. 종업원 동기에 관한 이론 Ⅱ
[강의 목표] 1. 작업동기이론 중 더글라스 맥그리거(Douglas McGregor)의 XY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있다. 2. 작업동기이론 중 아담스(J.S.Adams)의 형평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작업동기이론 중 브룸(Victor H. Vroom)의 기대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작업동기이론 중 디씨와 라이언(Deci & Ryan)의 자기결정성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작업동기이론 중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작업동기이론 종류 ② |
||
8 |
중간시험
|
[정기 시험] |
9 |
1차시. 직무태도(Job Attitude)
[강의 목표] 1. 태도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사례를 들어 태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2. 직무에 관련된 태도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태도(Attitude) 2. 직무에 관련된 태도의 종류 |
|
2차시. 직무만족의 의미와 측정
[강의 목표] 1. 직무만족의 개념을 이해하고 직무만족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직무만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종업원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2. 직무만족의 측정 방법 3. 종업원의 직무만족도 제고 방안 |
||
10 |
1차시. 감정과 기분(Emotions & Moods)
[강의 목표] 1. 감정 연구가 이루어진 학문적 배경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감정의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조직생활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감정 연구의 학문적 배경 2. 감정의 기능 3. 조직생활과 감정노동(Emotional Labor) |
|
2차시. 조직 행동(Organizational Behavior)
[강의 목표] 1. 조직 행동의 개념과 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조직 공정성의 모형과 관련된 변수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조직 행동 2. 조직 공정성의 개념 |
||
11 |
1차시. 직업건강심리학 Ⅰ
[강의 목표] 1. 직업에 있어 건강과 심리학이 관여하여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실업과 관련된 이론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직업건강심리학 2. 실업이론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직업건강심리학 Ⅱ
[강의 목표] 1. 스트레스와 관련된 이론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과 발생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개인과 조직에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스트레스 이론 2. 직무 스트레스 3. 개인적 스트레스 4. 조직의 스트레스 5. 스트레스의 결과 |
||
12 |
1차시. 작업집단과 작업 팀 Ⅰ
[강의 목표] 1. 집단과 팀의 개념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집단리더의 기능 및 집단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규범의 개념과 기능을 말할 수 있다. 4. 집단과 팀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집단과 팀의 개요 2. 집단 3. 규범 4. 팀 |
|
2차시. 작업집단과 작업 팀 Ⅱ
[강의 목표] 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개인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말할 수 있다. 2. 집단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개인 커뮤니케이션 2. 집단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
||
13 |
1차시. 조직에서의 리더십과 권력 Ⅰ
[강의 목표] 1. 리더십(Leadership)의 개념을 기술할 수 있다. 2. 전통적 리더십의 연구 모형 및 연구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리더십 2. 전통적 리더십 연구 |
[토론 제출] |
2차시. 조직에서의 리더십과 권력 Ⅱ
[강의 목표] 1. 리더십과 관리를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2. 현대사회에서 대두되는 새로운 리더십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리더십과 관리 2. 새로운 리더십론 |
||
14 |
1차시. 조직문화의 개념 및 유형
[강의 목표] 1. 조직문화의 정의와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조직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조직문화와 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학자들이 정의한 다양한 조직문화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조직문화의 정의(Schein) 2. 조직문화의 기능 3. 조직문화와 성과와의 관계 4. 샤인(E.H. Schein)의 조직문화 구성요소 5. 딜 · 케네디(Deal & Kennedy) 조직문화 유형 |
|
2차시. 조직문화 유형 및 성공사례
[강의 목표] 1. 학자들이 정의한 다양한 조직문화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에서 실천 중인 다양한 조직문화의 사례를 학습하여 조직 운영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퀸(Quinn)과 맥글라스(McGrath)의 조직문화 모형 2. 해리슨과 핸디(Harrison & C. Handy)의 조직문화 유형 3. 데니슨(D.R.Denison)의 조직문화 유형 4. 조직문화 유형 사례 |
||
15 |
기말시험
|
[정기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