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아동문학교육 | 지도교수 | 김은혜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4-11-20 ~ 2025-03-04(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5-03-19 | 성적보고 완료일 | 2025-03-25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5.04.01. 10:00 ~ 2025.04.30. 16:00 | 학위취득 | 2025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문예창작학 전공,아동학 전공 |
---|---|
전문학사 | 생활교양 전공,아동ㆍ가족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5-01-10 오전 10:00 ~ 2025-01-13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5-02-28 오전 10:00 ~ 2025-03-03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4-12-18 - 2025-01-21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5-02-14 - 2025-02-17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5-01-31 - 2025-02-03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4-11-20 - 2024-12-10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5-01-15 - 2025-01-28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아동문학의 기초
[강의 목표] 1. 문학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2. 아동문학의 개념과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아동문학의 구성요소 및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문학의 개념과 구성요소 2. 아동문학의 개념과 중요성 3. 아동문학의 구성요소 및 종류 |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아동문학교육이란
[강의 목표] 1. 아동문학교육의 정의와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2. 아동문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3. 아동문학교육의 접근 유형을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4. 아동문학교육의 최신동향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동문학교육의 정의와 성격 2. 아동문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 3. 아동문학교육의 접근 유형 4. 아동문학교육의 최신동향 |
||
2 |
1차시. 아동문학의 역사
[강의 목표] 1. 국내 아동문학의 변천사를 시기별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적 변천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국내 아동문학상을 종류별로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국외 아동문학의 변천사를 시기별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적 변천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국외 아동문학상을 종류별로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국내 아동문학의 변천과정 2. 국내의 아동문학상 3. 국외 아동문학의 변천과정 4. 국외의 아동문학상 |
|
2차시. 아동문학의 이론적 접근
[강의 목표] 1. 문학적 관점에서의 독자반응이론을 이해하고 읽기, 독자반응의 유형을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2. 문학적 관점에서 정신분석이론을 이해하고 정신분석이론을 적용한 문학작품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3. 문학적 관점에서의 원형이론을 이해하고 분류에 따라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독자반응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원형이론 |
||
3 |
1차시. 아동문학과 아동발달
[강의 목표] 1. 아동문학과 언어발달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2. 아동문학과 인지발달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아동문학과 사회·도덕성 발달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4. 아동문학과 창의성 발달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동문학과 언어발달 2. 아동문학과 인지발달 3. 아동문학과 사회·도덕성 발달 4. 아동문학과 창의성 발달 |
|
2차시. 영유아 발달특징 및 유아기 인성교육과 아동문학
[강의 목표] 1. 영유아의 발달특징에 따라 적절한 아동문학작품을 제시할 수 있다. 2. 유아기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아동문학작품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영유아의 발달특징과 아동문학 2. 유아기 인성교육과 아동문학 |
||
4 |
1차시. 표준보육과정과 영아문학교육
[강의 목표] 1.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및 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표준보육과정을 통한 영아문학교육의 연계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및 체계 2. 표준보육과정 영역과 영아문학교육 연계 |
|
2차시. 누리과정과 유아문학교육
[강의 목표] 1. 누리과정의 구성 및 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누리과정을 통한 유아문학교육의 연계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누리과정의 구성 및 체계 2. 누리과정 영역과 유아문학교육 연계 |
||
5 |
1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그림책
[강의 목표] 1. 그림책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그림책을 구성하는 요소를 문학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로 구분지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그림책의 정의 및 특성 2. 그림책의 구성요소 |
[과제 제출] |
2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전래동화
[강의 목표] 1. 전래동화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래동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3. 전래동화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4. 전래동화의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래동화의 정의 및 특성 2. 전래동화의 구성요소 3. 전래동화의 종류 4. 전래동화의 유형 |
||
6 |
1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환상동화
[강의 목표] 1. 환상동화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환상동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3. 환상동화의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환상동화의 정의 및 특성 2. 환상동화의 구성요소 3. 환상동화의 유형 |
|
2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사실동화
[강의 목표] 1. 사실동화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실동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3. 사실동화의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사실동화의 정의 및 특성 2. 사실동화의 구성요소 3. 사실동화의 유형 |
||
7 |
1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동요와 동시
[강의 목표] 1. 동요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래동요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3. 동시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4. 동시를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5. 동시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동요의 정의 및 특성 2. 전래동요의 종류 3. 동시의 정의 및 특성 4. 동시의 구성요소 5. 동시의 종류 |
|
2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이야기와 아동소설
[강의 목표] 1. 이야기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이야기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3. 아동소설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4. 아동소설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이야기의 정의 및 특성 2. 이야기의 종류 3. 아동소설의 정의 및 특성 4. 아동소설의 종류 |
||
8 |
중간고사
|
[정기시험] |
9 |
1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극과 극 활동
[강의 목표] 1. 극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극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3. 아동문학으로서 극 활동을 이해하고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극의 정의 및 특성 2. 극의 종류 3. 극 활동의 종류 |
|
2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정보책과 전기문학
[강의 목표] 1. 정보책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책의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3. 전기문학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4. 전기의 형식을 이해하고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책의 정의 및 특성 2. 정보책의 유형 3. 전기문학의 정의 및 특성 4. 전기의 형식과 종류 |
||
10 |
1차시. 아동문학의 종류 - 글 없는 그림책
[강의 목표] 1. 글 없는 그림책의 정의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글 없는 그림책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3. 글 없는 그림책의 선정 기준과 영유아를 위한 활용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글 없는 그림책의 정의 및 특성 2. 글 없는 그림책의 종류 3. 글 없는 그림책의 선정 기준과 활용 전략 |
|
2차시. 아동문학작품의 선택 기준
[강의 목표] 1. 균형을 고려하여 아동문학작품을 선택할 수 있다. 2. 작품 성격을 고려하여 아동문학작품을 선택할 수 있다. 3. 발달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아동문학작품을 선택할 수 있다. 4. 아동문학작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 기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균형의 고려 2. 작품 성격의 고려 3. 발달적 적합성의 고려 4. 기타 기준 |
||
11 |
1차시. 읽기 활동의 개념 및 중요성
[강의 목표] 1. 소리내어 읽기의 중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그림책 선정 시 유의할 점과 이야기 구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소리내어 읽기 2. 그림책 읽어주기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영유아를 위한 문학 활동 - 동화Ⅰ
[강의 목표] 1. 낱장 그림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2. 융판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3. 자석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낱장 그림동화 2. 융판동화 3. 자석동화 |
||
12 |
1차시. 영유아를 위한 문학 활동 - 동화Ⅱ
[강의 목표] 1. TV 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2. 앞치마 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3. OHP 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4. 그림자 동화의 제작방법과 제시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TV 동화 2. 앞치마 동화 3. OHP 동화 4. 그림자 동화 |
|
2차시. 영유아를 위한 문학 활동 - 인형극
[강의 목표] 1. 인형극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다양한 인형극의 종류 및 제작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인형극의 특성 2. 인형극의 종류 및 제작방법 |
||
13 |
1차시.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강의 목표] 1.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원리와 목표를 이해하고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2.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평가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2.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 평가 |
[토론 제출] |
2차시.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강의 목표] 1. 그림책 중심의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 2. 주제 중심의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그림책 중심의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 2. 주제 중심의 아동문학교육 프로그램 |
||
14 |
1차시. 환경구성과 교사의 역할
[강의 목표] 1. 문학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구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문학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문학활동을 위한 환경구성 2. 교사의 역할 |
|
2차시. 아동문학 활용
[강의 목표] 1. 영아를 위한 아동문학 활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2. 유아를 위한 아동문학 활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영아를 위한 아동문학 활용 2. 유아를 위한 아동문학 활용 |
||
15 |
기말고사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