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강의계획서

전공과목안내

전공과목안내
과정명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지도교수 김원경
수업방식 이론중심 학점 3학점
학습기간 2024-04-17 ~ 2024-07-30(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2024-08-14 성적보고 완료일 2024-08-20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2024.10.01 10:00 ~ 2024.10.31 17:00 학위취득 2025년 2월 전기

성적 산출 기준

성적 산출 기준표
중간 기말 과제 토론 쪽지 참여 출석
30점 30점 10점 5점 5점 5점 15점
  1. [과목 미수료 기준]
    • 출석률 80% 미만
    • 정기시험(중간고사/기말고사)을 모두 미응시
    • 상대평가 환산점수 60점 미만
    • ※ 단, 수강인원이 10명 미만인 학습과정 및 실습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평가를 아니할 수 있음

  2. [유의사항]
    • 시험 대체 수단 없음
    • 시험응시기회 1회
    • 출결에 관한 지각처리 없음

  3. [공동 인증서 로그인 필요]
    • 내 강의실 이용시 개인정보 보호와 ID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요

  4. 상대평가 시행안내
    • 국가평생교육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 2016.1.6일 제정 및 2016년 1월1일 시행)의 변경에 따라
      2016년도 1학기 과정부터 성적 평가가 기존의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전환되게 되었습니다.

    • 에듀업원격평생교육원에서는 A등급 20% ~ 30%, B등급 30% ~ 40%, C등급이하 30% ~ 50%의 범위로 점수를 배정하려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 상대평가 시행안내 바로가기

관련전공소개

관련전공소개
학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전문학사 -

수업개요

한국어 어휘 의미와 화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은, 한국어 어휘론 개요, 어휘 형태와 의미, 어휘 의미와 화용, 어휘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상관성, 어휘 교육 내용 및 방법, 어휘 교육 모형, 단어와 구 및 연어, 어휘의 형태·의미·사용 정보, 어휘 설명 방법, 의미장 활용 방안, 유의어 및 반의어 혹은 관련어 활용 방안, 어휘 연습 방법, 문화적 지시어 교육 방안,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양상, 교육용 한국어 어휘 선정 방안, 한국어 교육용 어휘 사전 개발 등으로 구성된다. 본 교과목은 한국어 어휘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어휘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익혀 한국어 어휘 교육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수업목표

1. 어휘의 정의를 내릴 수 있으며 한국어 어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기술할 수 있다.

3. 한국어 어휘 체계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을 구안할 수 있다.

4. 한국어 어휘 교육의 내용인 어휘 목록을 숙달도별로 구분하며 분석할 수 있다.

5. 게임이나 단어 카드, 매체 등을 활용하여 어휘를 교수하는 다양한 방법을 구안할 수 있다.

6.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교육과 어휘 교육을 통합하여 교수할 수 있다.

7.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를 해석하여 어휘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성적분포

성적분포
A등급 B등급 C등급 이하
20% ~ 30% 30% ~ 40% 30% ~ 50%

평가기간

평가기간
구분 평가기간 비고
중간고사 2024-06-07 오전 10:00
~
2024-06-10 오후 10:00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기말고사 2024-07-26 오전 10:00
~
2024-07-29 오후 10:00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과제 2024-05-15 - 2024-06-18
(AM 10:00 – PM 22:00)
토론 2024-07-12 - 2024-07-15
(AM 10:00 – PM 22:00)
쪽지 2024-06-28 - 2024-07-01
(AM 10:00 – PM 22:00)
참여 나의학습계획 2024-04-17 - 2024-05-07
(AM 10:00 – PM 22:00)
소개서/중간평가 2024-06-12 - 2024-06-25
(AM 10:00 – PM 22:00)

과제

※ 아래 과제 주제는 변경될 수 있으며, 확정된 과제 주제 및 구체적인 내용은 [강의실 > 과제]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용 표현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설명, 활용)을 작성하십시오.

학습목차

학습목차
주차 학습내용 학습활동
1 1차시.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의 필요성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 습득에 어려움을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할 수 있다.
3. 어휘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예를 들어 묘사할 수 있다.
4. 어휘 교육의 내용 요소를 열거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교육의 필요성
- 의미 전달 요소
- 외국어 학습에서의 중요성
- 문화 이해 측면에서의 중요성
2. 어휘 습득의 어려움
- 정보적인 측면
- 관계적인 측면
- 양적인 측면
3. 어휘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천
- 종전의 인식
- 최근의 인식
4. 한국어 어휘 교육의 내용 요소
- 양적인 면
- 질적인 면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화면 속 화면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2차시. 어휘와 어휘력 및 언어 능력
[강의 목표]
1. 어휘와 단어의 개념을 비교 대조하여 기술할 수 있다.
2. 어휘부를 토대로 어휘력을 설명할 수 있다.
3. 어휘력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나열할 수 있다.
4. 어휘력과 의사소통 능력으로서의 언어 능력과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와 단어
- 어휘
- 단어
2. 어휘력
- 어휘부
- 어휘력
- 어휘력과 어휘부
3. 어휘력의 구성
- 어휘력의 속성에 따른 요소
- 어휘의 단위에 따른 요소
- 어휘들 간의 관련성에 따른 요소
- 개별 어휘에 대한 질적 능력
- 어휘 사용 양상에 따른 요소
4. 어휘력과 언어 능력
- 의사소통 능력
- 어휘력과 언어 능력의 관계
2 1차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동향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활용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어 사전 및 어휘 목록, 말뭉치 구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 어휘 교육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4. 한국어 어휘 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 교육의 교재
- 통합 교재
- 어휘 학습 교재
2. 한국어 어휘 교육의 기초 자료
- 어휘 사전
- 교육용 어휘 목록
- 오류 분석을 위한 말뭉치 구축
3. 한국어 어휘 교육의 현황
- 어휘 교수·학습의 목표
- 통합 교재 사용
4. 한국어 어휘 교육의 연구
- 주제별 어휘 교육 연구
-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2차시. 한국어 어휘 교재와 한국어 사전 및 어휘집의 실제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 교재의 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을 기술할 수 있다.
3. 한국어 사전의 현황과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4. 한국어 어휘집과 사전의 차이점과 함께 한국어 어휘집의 현황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 교재 현황
- 일반 어휘 교재
- 관용 표현 및 외래어 관련 어휘 교재
2. 한국어 어휘 교재의 개발
- 수준별 어휘 교재
- 교수·학습의 방안을 활용하는 어휘 교재
- 어휘 교재의 발전 방향
3. 한국어 사전의 현황
- 한국어사전 현황 - 한국어사전의 특징
- 한국어 사전의 발전 방향
4. 한국어 어휘집 현황
- 어휘집과 사전 - 한국어 어휘집
- 어휘집 개발 방향
3 1차시. 한국어 어휘의 어종과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의 어종을 분류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의 어종 구성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4. 한국어 교육에서의 외래어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의 어종에 따른 분류
- 고유어(native word)
- 한자어(Sino-Korean word)
- 외래어(loan word)
- 혼종어
2. 한국어 어휘의 어종 구성
- 어종의 분포
- 어종 구성의 변화
3.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
-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재
4. 한국어 교육에서의 외래어 교육
- 외래어 교육의 필요성
- 외래어 교육 방안
2차시. 한국어 단어 형성 원리와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한국어의 단어가 형성되는 원리를 기술할 수 있다.
2. 한국어의 단일어와 파생어의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의 합성어와 혼성어의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4. 한국어 교육에서의 구체적인 파생어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의 단어 형성
- 단어의 형성
2. 단일어와 파생어
- 단일어(單一語, simple word)
- 파생어(派生語, derived word)
3. 합성어와 혼성어
- 합성어(合成語, compound word)
- 혼성어(混成語, blended word)
4. 한국어 교육에서 파생어 교육
- 교재
- 교육
4 1차시.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와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의 상하 관계와 부분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3. 동의 관계와 반의 관계를 이루는 한국어 어휘의 생성 조건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4. 어휘의 의미 관계별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
- 개념
- 분류
- 교육적 적용
2. 상하 관계와 부분 관계
- 상하 관계
- 부분 관계
3. 동의 관계와 반의 관계
- 동의 관계(synonymy)
- 반의 관계(antonymy)
4. 어휘의 의미 관계에 따르는 한국어 어휘 교육
- 유의어 교육
- 반의어 교육
2차시. 한국어 어휘 의미의 복합 관계와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한국어의 어휘를 복합단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다의어의 규정과 생성 기제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3. 동음어의 유형과 생성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4. 다의어와 동음어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5. 다의어와 동음어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다의어
- 다의어의 규정
- 다의어의 생성 기제
2. 동음어
- 동음어의 규정
- 동음어의 유형
- 동음어의 생성 원인
3.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분
-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조적 동일성
- 다의어와 동음어의 판별 기준
4. 어휘의 복합 관계에 따르는 한국어 어휘 교육
- 다의어 교육
- 동음어 교육
5 1차시. 한국어 어휘의 양상과 의미의 결합관계에 따르는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의 변이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의 기본형 확장을 사회언어학적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3. 관용표현과 속담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4. 연어에 대한 교수방안을 구안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의 변이형 확장
- 변이어휘
- 개인의식의 반영
- 집단의식의 반영
2. 한국어 어휘의 기본형 확장 - 개인의식의 반영
- 음성상징어
- 집단의식의 반영
3. 관용표현과 속담
- 관용표현(idiomatic expression)
- 속담(proverb)
4. 연어
- 개념
- 유형
[과제 제출]
2차시. 한국어 어휘의 지도 1 - 어휘교육의 다양한 방법
[강의 목표]
1. 한국어 교재의 어휘 제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교수법 차원에서 한국어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시각적인 어휘 제시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시할 수 있다.
4. 다양한 청각적인 어휘 제시 방법들을 비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교재의 어휘의 제시 방법
- 어휘장 활용
- 반의 관계 활용
- 번역 활용
- 문화 정보 소개
- 하위 관계 활용
2. 교수법 차원에서 한국어 어휘 제시 방법
- 설명 중심의 어휘 지도
- 탐구 중심의 어휘 지도
- 통합 중심 어휘 지도
3. 시각적 방법의 어휘 제시
- 풍선꾸러미 활용
- 그림이나 사진 활용
- 목적별 그림 제시
- 그림 글자 제시
- 노래를 그림으로 제시
- 그림을 통해 연상하기
- 표현 내용 그리기
- 이야기 속의 그림 활용
- 숨은 그림 찾기
4. 청각적 방법의 어휘 제시
- 드라마나 영화 활용
- 노래 활용
- 표현 내용 그리기
6 1차시. 한국어 어휘의 지도 2 - 어휘 구조 차원의 어휘 교육 방법과 어휘 확장 방법
[강의 목표]
1. 어휘 구조 차원에서 어휘를 교육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장을 활용한 어휘 교육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외래어와 방언을 활용한 어휘 확장 방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4. 관용표현, 속담, 한자어 교육 방법과 유의점을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구조 차원의 어휘 교육
- 형태론적인 방법
- 설명, 예시, 연상 방법
- 대상 부류 이용 방법
- 유추 방법
2. 어휘장을 활용한 어휘 교육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어휘장
- 어휘장 활용의 실제
3. 어휘 확장 방법
- 외래어 교육
- 방언 교육
4. 관용표현, 속담, 한자어 교육
- 관용표현 교육
- 속담 교육
- 한자 교육
2차시. 한국어 어휘의 지도 3 - 언어 문화적 차원의 한국어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언어 경험 접근법과 한국 문화의 이해 접근법을 비교할 수 있다.
2. 외국어 유입으로 생긴 어휘를 열거할 수 있다.
3. 세계화된 한국어 어휘를 나열할 수 있다.
4. 어휘 교육의 유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언어 경험 접근법
2. 한국 문화의 이해 접근법
3. 외국어 유입으로 생긴 어휘의 제시
- 콩글리시의 개념 - 콩글리시의 발생
- 콩글리시 제시
4. 세계화된 한국어 어휘 제시
- 세계화된 어휘 제시 방법
- 세계화된 한국어 어휘의 문제점
- 위키백과사전에 실린 세계화된 한국어 사례
- 필요성
5. 어휘 교육의 유의점 - 어휘 제시 - 어휘 지도
7 1차시. 한국어 숙달도별 어휘 교육의 내용
[강의 목표]
1. 한국어의 숙달도별 어휘 교육의 목표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2. 1, 2급 어휘 교육의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3. 3, 4급 어휘 교육의 대상이 되는 대표 어휘 목록을 제시할 수 있다.
4. 5~7급 어휘 교육의 내용을 예를 들어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숙달도별 어휘 교육의 목표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1단계
- 한국어능력시험
2. 초급 어휘 교육의 내용
- 표준 모형 2단계 등급별 어휘 목표
3. 중급 어휘 교육의 내용
- 표준 모형 2단계 등급별 어휘 목표
4. 고급 어휘 교육의 내용
- 표준 모형 2단계 등급별 어휘 목표
2차시. 한국어 숙달도별 어휘 교육의 방안
[강의 목표]
1. 적용적 교수 관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초급 어휘 교육의 특징을 반영한 어휘 학습 교안을 제시할 수 있다.
3. 중급 어휘 교육의 특징을 반영한 어휘 학습 교안을 제시할 수 있다.
4. 고급 어휘 교육의 특징을 반영하여 학습 교안을 작성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적용적 교수 관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 초급
- 중급
- 고급
2. 초급 어휘 교육의 내용
- 초급 어휘 교육의 특징
- 초급 어휘 학습 교안
3. 중급 어휘 교육의 내용
- 중급 어휘 교육의 특징
- 중급 어휘 학습 교안
4. 고급 어휘 교육의 내용
- 고급 어휘 교육의 특징
- 고급 어휘 학습 교안
8 중간고사
[정기시험]
9 1차시. 듣기 교육과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어휘와 듣기 능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듣기 활동과 직간접적으로 연관 있는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어휘 습득을 효과적으로 이끌어줄 듣기 활동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4. 듣기 영역에서의 어휘 평가 문항을 유형별로 직접 구성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와 듣기 능력
2. 듣기 활동에서의 어휘
- 듣기 전 활동에서의 어휘 학습
- 듣기 활동에서의 어휘 학습
3. 듣기를 통한 어휘 학습
- 용이한 어휘습득을 위한 듣기학습 조건
4. 듣기와 어휘 평가
- 듣기 영역에서의 어휘 평가 문항 유형
2차시. 읽기 교육과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어휘와 읽기 능력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읽기 텍스트를 통한 어휘 연습의 단계 및 이독성에 근거한 텍스트 수정 방식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읽기 방식에 따른 어휘 학습의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4. 어휘 주석의 유형 및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5. 읽기를 통한 어휘평가 도구를 직접 만들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와 읽기 능력
- 읽기와 어휘
- 언어 교육 측면
2. 읽기 텍스트와 어휘 학습
- 읽기 텍스트를 통한 어휘 연습
- 이독성(readability)
3. 읽기 방식에 따른 어휘 학습
- 정독과 다독
- 다독과 어휘 발달
- 정독과 직접 교수
4. 어휘 주석 달기
- 어휘 주석의 개념
- 어휘 주석의 유형
- 어휘 주석의 효과
5. 읽기와 어휘 평가
- 그림, 표 등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맞지 않는 내용 고르기
- 문장 내 알맞은 단어 찾기
- 문장 내 적절한 어휘 고르기
- 접속어 고르기
10 1차시. 말하기 교육과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어휘와 말하기 능력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어휘 교육 활동 진행방법을 예를 들어 묘사할 수 있다.
3.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는 말하기 과제와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
4.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말하기 평가 방식의 유형과 특징을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와 말하기 능력
2. 말하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둔 어휘 교육
- 의미 지도 그리기
- 의사 결정하기
- 정보 전이 활동
- 분리된 정보 과제
3. 말하기를 통한 어휘 학습
- 말하기 과제
- 말하기 활동
4. 말하기와 어휘 평가 - 그림 단서를 제공한 질문에 답하기
- 역할극
2차시. 쓰기 교육과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어휘와 쓰기 능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쓰기 활동을 통한 어휘 교육방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어휘력이 쓰기 텍스트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4. 쓰기를 통한 어휘 평가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와 쓰기 능력
- 쓰기를 통한 어휘 지식의 생산적 사용
- 생산적 어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인
2. 쓰기 활동에서의 어휘 교육
- 읽고 문장으로 완성하기
- 바꿔 쓰기
- 번역
- 매개적 빈칸 채우기
- 사전 사용
- 저자처럼 읽기
- 딕토콤프(Dicto-Comp)와 관련된 활동
- 유도된 의미 지도 그리기
- 쓰기에서 어휘가 사용될 수 있도록 말하기 활동 이용하기
- 사건일지(Issue logs) 작성하기
3. 쓰기 텍스트 생산과 어휘
4. 쓰기와 어휘 평가
- 그림 보고 쓰기
- 빈칸 채우기
- 이야기 구성하기
- 자유 작문
11 1차시. 어휘 교육과 문법
[강의 목표]
1. 어휘와 문법지식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다양한 어휘적 연어 관계의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3. 단계별 의미 변별 기준과 어휘 결합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4. 통사 정보를 토대로 사동사의 문장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교육과 문법
2. 어휘적 연어 관계
- 고정 표현과 구동사
- 의미 자질만으로 자연스럽게 예측되지 않는 어휘간의 결합
- 빈도가 높은 어휘 결합
- 명사를 중심으로 한 연어 구조
- 보다 확장된 연어 영역
- 선행과 후행의 연어 정보
- 세 단어, 네 단어의 결합
- 추상 명사와의 결합
- 맥락을 고려한 연어 구조
- 학습자 오류를 중심으로 한 연어 구조
3. 유의어 의미 변별에서의 어휘 결합 정보
- 1단계 의미 변별 기준
- 2단계 의미 변별 기준
- 3단계 의미 변별 기준
- 4단계 의미 변별 기준
4. 통사 정보
- 개요
- 사동사의 문장 구조
[쪽지시험 응시]
2차시. 어휘 게임을 활용한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어휘 게임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의 장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 게임 선정 시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을 기술할 수 있다.
3. 어휘 게임 구성의 유의점을 토대로 실제적인 교실 내 어휘 게임을 구안할 수 있다.
4. 어휘 게임을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신뢰도 높은 평가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게임의 의의
- 교육용 게임의 목적
- 어휘 게임의 의의
- 어휘 게임 활용의 장점
2. 어휘 게임 선택 시 유의점
- 학급
- 물리적 공간
- 소음 요인 / 이용 가능한 준비물과 자료
- 문화적 고려사항
- 게임에 활용 가능한 시간
3. 어휘 게임 구성의 유의점
- 학습 목표
- 어휘의 적절성 고려
- 학습자에 대한 고려
- 게임의 적절성
- 어휘량
4. 어휘 게임 수업의 평가
- 게임 선택과 진행에 대한 평가
12 1차시. 학습 단계별 어휘 게임
[강의 목표]
1. 자모 교육 단계의 어휘 게임을 구상할 수 있다.
2. 초ㆍ중ㆍ고급 단계별 적합한 어휘 게임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모 교육 단계의 어휘 게임
- 첫 문자 잇기(Words from words)
- 자모 순서 게임(Alphabet Game)
- 모음 찾기 게임(Where are the Vowels)
2. 초급 단계의 어휘 게임
- 관찰과 기억(Observe Remember)
- 사전 찾기 게임(Dictionary Dilemma)
- 철자 바로잡기(Scrambled Words)
- 틀린 철자 찾기(What’s wrong?)
- 모눈종이 속 어휘 찾기
- 벽에 붙이기
- 이야기 듣고 그림 그리기
- 그림을 통한 침묵 게임
3. 중급 단계의 어휘 게임
- 거짓 정의 찾기
- 보고, 기억하고, 본문 예측하기
- 핵심 어휘 찾기
- 이구동성 게임
- 일심동체 게임
4. 고급 단계의 어휘 게임
- 나만의 정의 게임
- 도전 골든벨 게임
2차시. 어휘 학습 전략
[강의 목표]
1. 어휘 학습에서의 사전 사용 목적과 활용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 학습에서의 문맥 추론의 필요성과 문맥 추론 전략 훈련 시 고려 사항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단어 카드 전략의 내용과 훈련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4. 전략의 통합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학습에서의 사전 활용
- 사전 사용의 목적
- 사전 사용의 중요성
- 사전 사용을 위한 기술
2. 문맥 추론 전략
- 문맥 추론의 필요성
- 문맥 추론과 어휘 학습
- 문맥 추론 전략 훈련
3. 단어 카드 전략
- 단어 카드 전략의 필요성
- 단어 카드의 중요성
- 단어 카드 전략의 내용
- 단어 카드 전략의 훈련
4. 전략의 통합
13 1차시. 어휘 오류의 유형 분석 및 어휘 교육
[강의 목표]
1. 언어 학습자 오류의 개념과 어휘 오류 연구에서의 어휘 범위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2. 현상, 범주, 원인에 따라 어휘 오류를 분류할 수 있다.
3. 어휘 오류의 유형을 나열할 수 있다.
4. 오류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및 수업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오류의 개념과 판정
- 오류의 개념
- 어휘 오류 연구에서의 어휘 범위
2. 어휘 오류의 분류
- ‘현상’에 의한 분류
- ‘범주’에 의한 분류
- ‘원인’에 의한 분류
3. 어휘 오류의 유형
- 현상오류
- 형태적 오기(誤記)
- 범주오류
4. 어휘 오류 분석과 어휘 교육
- 오류 연구의 의의
- 오류의 긍정적인 역할을 위한 유의 사항
- 오류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 오류를 이용한 수업 방법
[토론제출]
2차시. 한국어 숙달도별, 학습자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양상
[강의 목표]
1. 초ㆍ중ㆍ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어휘 오류의 예를 들 수 있다.
2. 학습수준에 따른 어휘 오류의 현상을 구분할 수 있다.
3.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의 어휘 오류의 양상을 비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초급 학습자의 어휘 오류 양상
- 일반적 특징
- 의미적 유사성에 의한 어휘 오류
- 대명사의 사용이 잘못된 경우
-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코드전환/신조어 오류
- 피동, 사동 및 합성법 이해 부족으로 인한 오류
- 호응 관계의 오류
2. 중급 학습자의 어휘 오류 양상
- 일반적 특징
- 오류의 예
3. 고급 학습자의 어휘 오류 양상
- 일반적 특징
- 오류의 예
4. 학습자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양상
- 중국어권 학습자의 어휘 오류
- 일본어권 학습자의 어휘 오류
- 영어권 학습자의 어휘 오류
14 1차시. 어휘 평가
[강의 목표]
1. 어휘 평가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어휘 평가의 절차별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다.
3. 어휘 평가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4. 숙달도별 어휘 평가의 목표와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어휘 평가의 원리
- 어휘 평가
- 어휘 평가 내용
2. 어휘 평가의 절차
- 평가의 준비 단계
- 목표 확인 단계
- 어휘 항목 설정 단계
- 평가의 구성 단계
- 평가 문항의 선택 단계
- 평가 문항의 검토 단계
- 평가의 결과 분석 단계
3. 어휘 평가의 유형
- 성취도 평가
- 기능별 평가
4. 숙달도별 어휘 평가
- 평가의 목표
- 평가의 내용
2차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향
[강의 목표]
1. 한국어 어휘 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향 및 주제, 의미, 형태를 고려한 다양한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3. 한국어 교사로서 성취해야 할 한국어 어휘 교육의 과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한국어 어휘 교육의 변화
2.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향
- 어휘·문법의 통합적 접근
- 주제·의미·형태를 고려한 다양한 어휘 교육 방안 모색
3. 한국어 어휘 교육의 과제
- 기초 자료 구축
-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
- 다양한 언어권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 한국어 어휘 교수법의 체계화
15 기말고사
[정기시험]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