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한국어음운론 | 지도교수 | 황희선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2-11-23 ~ 2023-03-07(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3-03-22 | 성적보고 완료일 | 2023-03-28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3.04.03. 10:00 - 2023.04.28. 17:00 | 학위취득 | 2023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
---|---|
전문학사 | -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3-01-13 오전 10:00 ~ 2023-01-16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3-03-03 오전 10:00 ~ 2023-03-06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2-12-21 - 2023-01-24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3-02-17 - 2023-02-20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3-02-03 - 2023-02-06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2-11-23 - 2022-12-13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3-01-18 - 2023-01-31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음운론과 발성 기관
[강의 목표] 1.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2.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와 음운론의 범주를 설명할 수 있다. 3. 말소리의 생성 과정과 발성 기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2. 음성학과 음운론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4. 발성 기관 |
[수업보조자료] - 교안(강의노트) - 음성파일(mp3) 다운로드 제공(전 주차 적용) |
2차시. 공명강과 조음 기관
[강의 목표] 1. 공명강과 조음 기관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2. 국제음성기호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국제음성기호의 자음과 모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공명강 2. 조음 기관 3. 국제음성기호 |
||
2 |
1차시. 국어 자음 Ⅰ
[강의 목표] 1. 자음과 모음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2. 자음 분류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3.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을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음과 모음의 차이 2. 자음 분류의 기준 3. 조음 위치 |
|
2차시. 국어 자음 Ⅱ
[강의 목표] 1. 조음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후두 긴장과 기식 유무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공명음과 장애음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조음 방법 2. 후두 긴장과 기식 유무 3. 공명음과 장애음 |
||
3 |
1차시. 국어 모음
[강의 목표] 1. 모음의 분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2.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3. 한국어의 모음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음 분류의 기준 2. 단모음과 이중 모음 3. 모음의 분류 |
|
2차시. 음소 Ⅰ
[강의 목표] 1. 음성과 음소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2. 최소대립쌍의 개념을 통해 한국어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성과 음소 2. 최소대립쌍 |
||
4 |
1차시. 음소 Ⅱ
[강의 목표] 1. 변이음의 개념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상보적 분포의 개념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변이음 2. 상보적 분포 |
|
2차시. 음운 자질 Ⅰ
[강의 목표] 1. 자질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변별적 자질의 의의 및 말소리의 이름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음운 자질의 선정 기준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질의 개념 2. 변별적 자질 3. 음운 자질 선정 기준 |
||
5 |
1차시. 음운 자질 Ⅱ
[강의 목표] 1. 국어에서의 음운 자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모음과 자음의 자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질의 설정을 통해 한국어 모음과 자음의 각 특성을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음의 자질 2. 자음의 자질 |
|
2차시. 운율 자질
[강의 목표] 1. 음소 외의 말소리의 구분을 가져오는 운소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2. 운율 자질의 요소 가운데 단어의 음장과 억양 등이 한국어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운율 자질 2. 음장 3. 억양 |
||
6 |
1차시. 음절 Ⅰ
[강의 목표] 1. 음절의 개념과 한국어의 음절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2. 음절의 경계를 찾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절의 개념과 구조 2. 음절 경계 |
|
2차시. 음절 Ⅱ
[강의 목표] 1. 음절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음절의 실현을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음운론적 제약의 정의와 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절의 기능 2. 음절의 실현 3. 음운론적 제약 |
||
7 |
1차시. 기저형 Ⅰ
[강의 목표] 1. 기저형과 표면형의 정의와 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기저형의 설정 의의와 과정,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3. 음운 규칙의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기저형과 표면형 2. 기저형의 설정 3. 음운 규칙의 기술 |
|
2차시. 기저형 Ⅱ
[강의 목표] 1. 불규칙 활용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2. 추상적 음소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3. 다중 기저형의 설정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불규칙 활용 2. 불규칙 활용의 기저형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소리 변화와 음운 변동
[강의 목표] 1. 공시론과 통시론의 개념을 통해 소리의 변화를 말할 수 있다. 2. 자음, 모음, 운소, 음절 구조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음운 변화와 음운 변동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공시론과 통시론 2. 자음, 모음, 운소, 음절 구조의 변화 3. 음운 변화와 변동 |
|
2차시. 음운 대치
[강의 목표] 1. 국어의 음운 변화 중 대치의 성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대치의 유형과 대치의 설명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대치의 성격 2. 대치의 유형 3. 대치의 설명 방법 |
||
10 |
1차시. 평폐쇄음화, 경음화
[강의 목표] 1. 평폐쇄음화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경음화의 개념, 종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평폐쇄음화 2. 경음화 |
|
2차시. 치조비음화, 동화
[강의 목표] 1. 치조비음화가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2. 동화의 개념과 동화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조비음화 2. 동화 |
||
11 |
1차시. 유음화, 비음화
[강의 목표] 1. 유음화의 개념,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2. 비음화의 개념, 현상,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유음화 2. 비음화 |
[쪽지시험] 1) 출제범위 : 1~10주차 강의 2) 시험문제 : 객관식 5문항 |
2차시. 조음위치동화, 구개음화
[강의 목표] 1. 조음위치동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구개음화의 발생조건과 발생예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조음위치동화 2. 구개음화 |
||
12 |
1차시. 움라우트
[강의 목표] 1. 움라우트와 ‘이’모음 역행동화를 구별하여 말할 수 있다. 2. 움라우트가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3. 방언에서의 움라우트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움라우트와 ‘이’모음 역행동화 2. 움라우트의 조건 3. 방언에서의 움라우트 |
|
2차시. 모음조화, 활음화
[강의 목표] 1. 모음조화의 규칙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2. 활음화의 개념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음조화 2. 활음화 |
||
13 |
1차시. 자음군 단순화
[강의 목표] 1. 음운 탈락을 종류별로 설명할 수 있다. 2.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과 다양한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운 탈락 2. 자음군 단순화 |
[토론] 1. 음소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을까요? 음소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눈 것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 ‘방가방가’라는 인터넷 용어는 발음과 무관하게 생긴 표현일까요? 관련이 있다면 어떤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국립국어원에서는 표준 발음법을 규정하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표준 발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는 개인에 따라 발음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표준 발음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많은 어휘가 경음화되거나 생략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토론해 봅시다. 5. ‘신라면’과 ‘음운론’의 발음은 무엇일까요? 어떠한 음운 현상으로 인해 발음되는 것인지 토론해 봅시다. |
2차시. ‘ㅎ’ 탈락, ‘으’ 탈락
[강의 목표] 1. ‘ㅎ’ 탈락의 개념과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2. ‘으’ 탈락의 개념과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ㅎ’ 탈락 2. ‘으’ 탈락 |
||
14 |
1차시. 동모음 탈락, 활음 탈락
[강의 목표] 1. 동모음 탈락의 개념과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2. 활음 탈락의 개념과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동모음 탈락 2. 활음 탈락 |
|
2차시. 음운 첨가, 음운 축약
[강의 목표] 1. 음운 첨가의 종류와 개념, 음운 첨가가 일어나는 조건을 말할 수 있다. 2. 음운 축약의 개념과 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축약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음운 첨가 2. 음운 축약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